-
[ 목차 ]
2025년부터 육아휴직 기간이 부모 각각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.
부모가 맞돌봄을 실천하고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
✅ 연장된 육아휴직 급여 지원
육아휴직이 연장되면서 급여 지원도 유지됩니다. 연장된 기간에도 최대 160만 원의 육아휴직 급여가 지급됩니다.
육아휴직 급여 신청은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
또는 사업장 관할 근로복지공단 지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고용24_개인
m.work24.go.kr
✅ 육아휴직 기간 연장 조건
육아휴직 연장으로 인해 여성의 경력 단절을 방지하고 부모가 함께 육아를 분담하도록 하기 위해,
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해야 육아휴직 6개월 연장이 가능합니다.
부모 모두 각각 최소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
한부모 가정
중증 장애아동을 둔 부모
이 조건을 충족하면 추가로 6개월을 더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✅ 적용 대상
2025년 2월 23일부터 시행
자녀 한 명당 부모 각각 최대 1년 6개월 사용 가능
육아휴직 급여는 최대 160만 원 지원
배우자 출산휴가도 10일 → 20일로 확대
배우자 출산휴가도 대폭 확대됩니다. 기존에는 10일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, 앞으로는 20일까지 가능합니다.
✅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주요 내용
기존 10일 → 20일로 연장
중소기업 근로자는 정부가 급여 지원 (5일 → 20일 확대)
출산 후 90일 이내 → 120일 이내 사용 가능
최대 4번까지 나누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배우자가 출산하는 경우 최소 한 달 동안은 신생아와 산모를 돌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
특히,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우 정부가 급여를 지원합니다
고용24_개인
m.work24.go.kr
임신·출산 근로자 지원 확대 – 유산·사산휴가, 근로시간 단축
임신·출산과 관련된 근로자 지원 제도도 대폭 확대됩니다.
✅ 유산·사산휴가 5일 → 10일로 확대
임신 초기 유산·사산을 경험한 여성 근로자가 충분한 회복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
기존 최대 5일이었던 휴가가 10일로 확대됩니다.
임신 15주 이내 유산·사산 시 최대 10일까지 사용 가능
임신 주수에 따라 최대 90일까지 사용 가능
신청 방법: 사업장에 직접 신청 후 휴가 사용
✅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– 고위험 임산부도 사용 가능
기존에는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만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했지만, 앞으로는 32주 이후에도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합니다.
조기 진통, 다태아 임신 등 고위험 임산부는 임신 전 기간 근로시간 단축 가능
근로시간 단축 신청 시 사업주는 허용해야 함
근로시간 단축 후 급여 보전 지원
이러한 변화는 고위험 임신부의 건강을 보호하고, 안전한 출산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– 더 넓은 연령대까지 적용!
부모가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육아기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기준이 확대되었습니다.
✅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확대
기존 자녀 연령 8세 → 12세까지 확대
육아휴직 미사용 기간을 2배 가산하여 근로시간 단축 가능
최대 3년까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가능
최소 사용 단위 기간 3개월 → 1개월로 단축 (방학 돌봄도 가능)
부모가 유연하게 근무 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었으며, 자녀 연령도 초등학교 6학년(12세)까지 확대되어 더 많은 부모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난임치료휴가 및 출산전후급여 지원 확대
난임을 겪는 근로자와 예술인, 노무제공자까지도 출산전후급여 지원이 확대됩니다.
✅ 난임치료휴가 확대
기존 3일 → 6일로 확대
유급 기간 2일로 늘어남
중소기업 근로자는 정부가 유급기간 급여 지원
✅ 예술인·노무제공자도 출산전후급여 지급
근로복지공단 가입 예술인·노무제공자도 동일한 급여 혜택 제공
미숙아 출산 시 100일간 출산전후급여 지급
임신 초기 유산·사산휴가 기간 10일로 확대
지금 당장 준비해야 할 것!
✅ 육아휴직 연장 신청 가능 여부 확인
✅ 배우자 출산휴가 활용 계획 세우기
✅ 유산·사산휴가 및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 준비
✅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활용 방안 검토
✅ 난임치료휴가 및 출산전후급여 신청 조건 확인
2025년부터 달라지는 육아·출산 정책을 적극 활용하여 부모님들이 더욱 안정적으로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!